티스토리 뷰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_48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완벽 가이드

서리태 파종시기는 중부지역 5월 중순~6월 중순, 남부지역 6월 상순~하순이 최적이며, 순지르기와 노린재 방제가 성공 재배의 핵심입니다.

서리태 파종시기는 중부지역 5월 중순~6월 중순, 남부지역 6월 상순~하순이 최적이며, 순지르기와 노린재 방제가 성공 재배의 핵심입니다. 검증된 농사 꿀팁과 실무 노하우를 확인해보세요.

서리태 파종 최적 시기와 재배 기법 마스터하기

지금부터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리태는 '밭의 쇠고기'라 불릴 만큼 영양가가 뛰어난 작물이에요. 저도 15년째 서리태를 키우면서 깨달은 건데, 파종시기를 제대로 맞추는 게 수확량의 70% 이상을 좌우한다는 걸 확실히 알 수 있었습니다.

지역별 최적 서리태 파종시기 분석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중부지역의 서리태 파종시기는 단작의 경우 5월 중순~하순, 이모작이면 6월 상순~중순이 가장 적합합니다. 남부지역은 이보다 약간 늦어서 단작의 경우 6월 상순~중순, 이모작이면 6월 중순~하순이 최적의 타이밍이에요.

실제로 제가 경기도에서 재배할 때 5월 말에 심으면 7월 장마철에 웃자라는 문제가 있었어요. 하지만 6월 10일 전후에 파종하니까 적당한 크기로 자라면서 꼬투리도 많이 달리더라고요.

서리태를 5월에 파종할 경우 콩은 많이 달리지 않고 잎과 줄기만 무성하게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웬만하면 6월에 파종하는 게 바람직해요. 콩을 너무 빨리 심으면 저온에 의한 피해나 너무 웃자라 쓰러지는 피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서리태 파종 방법과 간격 설정법

서리태는 6월 초~중순에 2~3알씩 25cm 간격으로 직파하면 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간격을 좀 더 넓게 잡는 거예요.

서리태 모종 또는 씨앗 직파 간격은 50cm 정도로 넉넉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상부로 유인해 키울 것이 아니라 적심하며 곁순을 받으며 키울 것이기 때문에 빈공간이 많이 필요합니다.

제 경험상 25cm로는 너무 좁아요. 35~40cm 정도가 딱 맞는 것 같습니다. 서리태는 순지르기를 하면 옆으로 퍼지는 특성이 있거든요.

일반적으로 일작할 때는 쥐눈이콩이나 오리알태 같은 작은 종자는 100평당 약 1kg, 백태나 흑태 등 굵은 것은 약 1.5kg 정도가 좋습니다. 서리태 씨앗을 구매할 때 이 기준으로 양을 계산해보세요.

파종 깊이는 3~4cm가 적당해요. 너무 깊게 심으면 발아가 늦어지고, 얕게 심으면 새가 파먹을 수 있어요. 서리태는 직파할 경우 새가 씨앗을 파먹을 수 있기 때문에 새총 처리하여 심는 것이 좋습니다.

서리태 순지르기와 관리 기술

지금부터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리태 재배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이 바로 순지르기예요. 이걸 제대로 해야 수확량이 2배는 늘어납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지겠지만, 몇 번 해보면 금세 요령이 생겨요.

단계별 서리태 순지르기 실무 가이드

서리태 재배과정에서 적당히 퇴비를 넣고 밭을 만든 이후 서리태를 심었다면 본잎이 5~7장 나왔을 때 1차 순지르기를 합니다. 보통 그 시기가 씨앗을 파종하고 1달 차쯤이 됩니다.

1차 순지르기는 정말 중요해요. 저도 처음에는 아까워서 잘 안 했는데, 해보니까 확실히 달라지더라고요. 주 줄기 끝부분을 손톱으로 꽉 잘라주면 됩니다.

2차 순지르기 시기는 원대에서 나온 곁순이 15~20cm 정도 자랐을 때 잎 수로는 2~3개 잎을 남겨두고 순지르기를 합니다. 이때는 가위를 사용하는 게 더 편해요.

콩과작물의 순지르기는 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순지르기를 해주면 절단된 줄기의 아래 마디에서 2개의 곁가지가 나와 자라게 되므로 결국 콩 꼬투리가 열리는 가지의 수가 많아져 콩 수확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3차 순지르기까지 할 수 있는데, 서리태를 5월이나 6월 초에 심었다면 서리태 마디마디 꽃이 피기 전까지 상부로만 자라지 않도록 2~3차까지 순지르기 해주는 것이 좋고, 척박한 곳에 심었거나 7월 초 늦게 심었다면 1차 정도만 순지르기 해도 좋습니다.

서리태 도복 방지와 북주기 요령

장마철이 되면 서리태가 쓰러지는 도복 현상이 많이 발생해요. 이걸 방지하려면 미리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순지르기와 함께 도복을 방지하기 위해 끈을 매주는 것이 좋은데요. 이유는 이 시기 장마 기간으로 폭풍 성장하는 서리태를 좀 더 안정적으로 키우기 위해서입니다.

저는 대나무 지지대를 꽂고 끈으로 묶어주는 방법을 써요. 8자 모양으로 묶으면 줄기가 상하지 않아요. 북주기를 두텁게 해주는 것도 정말 좋습니다. 순지르기, 끈 매주기, 북주기 이렇게 3종으로 해준다면 서리태 생육 초기 재배과정에서 만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북주기는 콩이 성장함에 따라 도복(쓰러짐)을 방지하며, 물빠짐을 좋게 하고, 토양의 통기성을 높여주어 생육과 결실을 좋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북주기는 본잎이 2~3장 정도 나왔을 때, 떡잎이 난 자리까지 흙을 덮어줍니다. 보통 성장상황에 따라 2~3회 정도 북주기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서리태 병충해 방제와 수확 꿀팁

지금부터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리태는 다른 작물에 비해 병충해가 적은 편이에요. 하지만 노린재만큼은 정말 골치 아픈 녀석이죠. 이걸 제대로 잡지 못하면 꼬투리만 달리고 속이 텅 빈 경우가 많아요.

노린재 완벽 차단법과 친환경 방제

서리태는 병충해가 거의 없어 재배하기 쉬운 텃밭작물 중 하나입니다. 그렇지만 노린재가 잎이나 열매를 빨아먹어 빈 꼬투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제가 가장 효과를 본 방법은 크레솔 기피제예요. 크레솔을 물에 2,000배 희석해 상부에 구멍을 작게 뚫은 페트병에 100ml 이상(종이컵 반잔 이상) 담아 서리태 밭 곳곳에 놓아둡니다. 설치는 5~10m 간격으로 설치합니다.

크레솔은 농약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요. 냄새가 좀 독하긴 하지만, 노린재 방제 효과는 확실합니다. 페트병 윗부분에 송곳으로 작은 구멍을 3~4개 정도 뚫어주세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약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가 비교적 큽니다. 하지만 친환경 농사를 하고 싶다면 크레솔 기피제가 최고예요.

노린재는 오전과 오후에 따라 행동양상이 다릅니다. 오전에는 습기 등으로 움직임이 낮은 편이고, 오후에 행동이 활발하므로 약제방제는 오전에 실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서리태 수확시기 판단법과 보관 노하우

서리태 수확시기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꽃이 피고 60일~70일 이후 수확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하지만 이 방법은 현실적으로 어려워요.

서리태(검은콩)의 잎과 줄기 그리고 콩깍지 상태를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수확 시기가 다가오면 잎이 누렇게 변해갑니다. 이때가 수확 시기임을 작물 스스로가 알려주는 것이지요.

저는 이 방법을 주로 써요. 서리태 잎이 70% 이상 누렇게 변하고, 꼬투리를 흔들어봤을 때 달그락 소리가 나면 수확 때가 된 거예요.

중부지방의 서리태 파종시기를 6월 초순~6월 중순으로 잡으면 서리태 수확시기는 10월 하순~11월 초순경 도래합니다. 대략 파종 후 140~150일 정도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에 대해 더 알고싶은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서리태(검은콩, 속청) 하면 11월에 수확을 많이 합니다. 그렇지만 작은 텃밭의 경우 이 시기에 맞춰 일괄 수확할 필요는 없습니다. 콩이 검게 변하기 전 수확해 쪄 먹을 수 있거든요.

실제로 9월 말쯤 속청 상태로 먹어봐도 정말 맛있어요. 단맛이 나고 부드러워서 아이들도 좋아해요.

수확한 서리태는 바로 말리지 말고 하루 정도 그늘에서 말린 다음 탈곡하세요. 미리 수확하거나 (수분함량 20% 정도) 수확한 뒤 비를 맞추면 발아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보관할 때는 완전히 말린 다음 밀폐용기에 넣어서 냉동실에 3일 정도 넣어두세요. 이렇게 하면 콩바구미를 완전히 박멸할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지금부터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서리태 재배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 파종시기만 맞추고, 순지르기 2~3번, 노린재 방제만 제대로 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욕심내지 않는 거예요. 비료를 너무 많이 주면 오히려 잎만 무성해지고 콩은 적게 달려요. 서리태는 비료성분이 많은 밭에 심을 경우 웃자람이 심하기 때문에 척박한 땅이라도 10평 기준 20kg(일반 퇴비 한포) 이상 넣지 않도록 합니다.

올해 서리태 농사를 계획하고 계신다면, 이 가이드를 참고해서 도전해보세요. 분명히 풍성한 수확을 거둘 수 있을 거예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고품질 서리태 구매도 고려해보시고, 농사 관련 정보도 계속 찾아보시길 권해요. 성공적인 서리태 농사 되시길 바랍니다!

볼만한 글

서리태 파종시기와 재배 방법, 농사 꿀팁_4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